찾다보면 기회가 보인다

평범한 정보도 기회가 될 수 있다.

서비스[플랫폼, 앱, 사이트, 정부지원]

나에게 맞는 금융상품 찾기 : 예적금 및 대출금리 비교 한눈에!

Onestop Service 2021. 8. 12. 14:45

안녕하세요 꿀벌입니다,

 

요즘 재테크 시장이 더더욱 커지면서 사람들이 조금더 스마트하게 돈을 굴리고 버는 방법들을 찾고 있습니다.

 

재테크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역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안정적 자산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예적금을 많이 염두합니다.

 

금리가 많이 낮아짐에 따라 많은 이익을 보기는 힘들지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를 원할때,

 

혹은 대출을 할때 조금이라도 더 유리하게 진행할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는 몇곳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전국은행 연합회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deposit_3.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portal.kfb.or.kr

국내에 많은 시중은행들이 있고 따라 많은 상품이 존재하고 있는데요.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전국에 있는 은행들의 연합으로 소비자 포털에서 예적금 및 대출 금리를 비교할수 있고 이외의 금융상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설명 페이지들도 다수 존재하니 재테크 초보자라면 한번 들어가서 쑥 둘러보는것도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2. 저축은행중앙회

https://www.fsb.or.kr/findeininst_0100.act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은행이 겉으로는 다 비슷비슷해 보일수 있지만 규모 등에 따라서 1금융권 2금융권 3금융권으로 나뉘어집니다.

전국은행연합회에서는 주로 1금융권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면 평균적 금리가 더 높은 저축은행, 2금융권 상품들은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살펴보실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3. 금융감독원 - 금융상품한눈에

http://finlife.fss.or.kr/installment/selectinstallment.do?menuId=2000101 

 

홈|저축|적금 |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시스템

※ 아래 대상에 해당하는 거주자가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할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가입대상) 만 65세 이상인 거주자(2015년 만 61세에서 2019년까지 매년 1세

finlife.fss.or.kr

 

그래도 역시 모든걸 한눈에 볼수있고 나에게 좀더 적합한 상품을 더 빨리 찾을수 있으면 좋죠!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금융상품한눈에' 에서는 거래금액 규모 방법등을 입력해서 상품을 비교해볼수 있어서 보다 자자기에게 적합한 상품을 더 쉽게 비교해볼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자료공시 딜레이가 발생하여 최신정보가 반영이 안된 정보도 있을수 있으니 유의해서 참고하고 정확한 확인을 위해 해당 금융기관과 한번더 확인할 필요도 있을것 같습니다!

 

 

 

월급만으로는 부자가 되기 힘들다는 요즘... 그래도 가진 자원과 정보를 최대한 활용해서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